
정부가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하여 개인이 특정 제약사의 백신을 선택해 접종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 11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개인이 백신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하기는 어려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 본부장은 “백신 도입 시기와 대상자 우선순위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우리나라는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화이자, 얀센 등 다국적 기업과 다국가 연합체인 ‘코백스 퍼실리티’ 등을 통해 5600만명분의 백신 물량에 대한 선구매 계약을 체결했고 이 중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사용 승인을 받았다.

정 본부장은 또한 “공중보건학적인 이유로 재접종이나 추가접종이 결정되지 않는 선에서는 무료접종을 추가로 인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는데 이는 백신 효과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추가 접종 때는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편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발표한 신년사에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무료 백신 접종이 2월에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정부는 1월 중 구체적인 백신 접종 계획을 마련한 뒤 2월부터 전 국민에 대한 무료 접중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방침이다.

[제보 및 광고 문의 sm@cmmkt.co.kr]
[컨텐츠 관련 문의 sm@cmmkt.co.kr]